멘토링 매칭
꿈을 실현시키는 방법, 문화·예술 분야
멘토링 장소
장소
멘토링 방식
온라인
신청 기간
2025-10-01 ~ 2025-10-17
프로그램 기간
2025-10-18 ~ 2025-10-18
[토]09:00~ 18:00 [일]09:00~ 18:00
- 멘토링 프로그램에 관하여
- 멘토 소개
- 멘토링 활동 목표
멘토링 프로그램에 관하여
강의명: 꿈을 실현시키는 방법, 문화·예술 분야
강의 시간: 1시간
강의 목표: 꿈을 꾸기만 하는 것에서 실현시키는 구체적 방법을 제시하고, 비전공자가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을 통해 어떻게 문화·예술 분야 전문가로 성장했는지 경험을 공유한다.
1. [15분] 나는 무엇을 하고 싶은가?
도입: 꿈을 꾸는 당신. 그 꿈이 '문화·예술' 분야라면?
공감대 형성: 발표자의 경험 공유 (막연한 꿈, 문화·예술, 정체성 찾기)
방향성 설정: '예술가' vs '기획가'
마침표: 문화·예술을 통해 타인에게 전하는 감동과 가치
2. [15분] 왜 이 자격증인가?
전개 과정: 법 -> 강조 조항 -> 취업
법적 근거: '문화예술교육 지원법'
배치 의무: 법에 명시된 국공립 시설(공연장, 박물관, 미술관 등) 의무 배치 조항
정의 및 역할: 국가자격증 문화예술교육사
(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2조제5호) 문화예술교육 관련 교원 외에 문화예술교육에 관한 기획·진행·분석·평가 및 교수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법에 따라 자격이 부여된 사람
3. [20분] 비전공자에게 유리한 이유
전공자 현실: 자격증 취득 용이하나, 실제 활용은 적음. 예술가로서의 길 선호.
비전공자의 메리트: 높은 진입장벽 (많은 시간, 노력) = 높은 가치
자격증 취득 방법 (2급): 비전공자는 직무역량 5과목 (10학점) + 예술전문성 10과목 (30학점)/ 학점은행제 활용 (온라인 수강 가능)
활용 방안: 국공립 시설 취업, 문화재단 가점, 지역 전문가 및 역량 강화 기회
4. [10분] 마무리 및 질의응답
강의 요약: 꿈 → 구체적 목표 (자격증) → 실행
핵심 메시지: 법령에 명명되어 있는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증은 비전공자에게 경쟁력있는 자격을 부여
소통: 자유로운 질의응답 시간

멘토 소개

멘토링 활동 목표
활동 계획서 [ 총 1회 1시간 ]
구분 | 활동 주제 및 내용 | 활동일자 | 활동장소 |
---|---|---|---|
1 | 꿈을 실현시키는 방법, 문화·예술 분야 | 2025-10-18 14:00 - 15:00 |
장소 |
- 활동 계획이 변경될 시 멘토 담당자(070-7710-8564)에게 반드시 사전 연락 바랍니다.
- 활동 후
- 활동일지 (멘토)
- 활동비, 봉사시간 신청서 (멘토)
- 활동약정서 (멘티/멘토)